메뉴 건너띄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왼쪽메뉴 바로가기 메인 본문 바로가기

광주하남상공회의소

대한상의보도자료

대한상의보도자료 상세보기
제목 지방 근무에 대한 청년세대 인식 조사
담당부서 산업정책실 작성일 2022.06.08
첨부파일


청년 구직자 “지방 근무는 연봉 1천만원 더 받아야”


- 商議, 수도권 청년 구직자 301명 조사.. 4명 중 3명은 “지방근무 싫다”, 3명 중 1명은 “지원도 안 해”
    ·싫은 이유는 ①가족·친구 없고(61%) ②인프라 열악한데다(60%) ③주거비 부담도 커(49%)
- 취업 시 고려요소는 ‘연봉’(37%)과 ‘근무지역’(29%)... “연봉 1천만원 높으면 지방 근무 의향 있어”
- 청년 취업의 지리적 마지노선은 ‘세종·대전’... 응답자 85% “세종·대전 밑으로는 안 내려가”
- 청년들이 제시한 지역불균형 해법 : ‘지역생활 여건 개선’(39%), ‘기업 지방이전 촉진’(22%) 順

인구와 일자리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해지는 가운데, 경제계가 수도권 청년들의 지방근무에 대한 생각을 들여다봤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수도권에 거주하며 구직활동을 하는 청년 301명을 대상으로 ‘지방근무에 대한 청년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방 근무를 기피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49.2%가 ‘다소 그렇다‘, 23.6%가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했다. 반면 ’별로 상관없다‘ 거나 ’전혀 상관없다‘는 응답은 각각 22.6%와 4.6%에 그쳤다.



비수도권 회사에 실제로 입사 지원하는지를 묻자 ‘전혀 지원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34.5%에 달했다. 아무리 조건이 좋은 회사여도 지방에 있으면 가지 않겠다는 것이다. ‘가급적 지원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31.6%를 차지했으며, 공기업 등에만 제한적으로 지원한다는 응답도 19.6%였다. ‘지역에 상관없이 지원한다’는 응답은 14.3%에 불과했다.

지방 근무를 기피하는 이유로는 ‘가족·친구 등 네트워크가 없어서’(60.7%)라는 응답이 1순위로 꼽혔으며, 이어 ‘생활·문화 인프라가 열악해서’(59.8%), ‘주거·생활비가 부담돼서’(48.9%) 라는 응답이 주를 이뤘다. 그밖에 ‘원하는 직장이 없어서’(14.2%), ‘성장기회가 부족해서’(6.8%), ‘결혼·자녀교육이 어려워서’(5.0%) 순이었다. <기타(4.6%), 복수응답>


서울에 살고 있는 A씨는 “서울은 늦어도 10분만 기다리면 버스가 오는데, 지방은 차 없이 이동도 어렵고 서울에서는 어디든 다 되는 당일배송도 안 된다고 하더라”며, “생활인프라도 부족한데다 가족도 친구도 없으니 지방에 근무하고 싶지 않은 게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청년들의 지방 기피 경향은 통계에서도 잘 드러난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순유출된 청년인구는 약 9만1천명으로 2010년에 비해 1.7배 이상 증가했다. 비수도권 인구 중 청년 비중 역시 2010년 19.7%에서 2015년 18.8%, 2020년 17.6%로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회사 선택 시 고려 조건은 연봉(37%)과 근무지(29%)... “연봉 1천만원 높으면 지방 근무 의향 있어”

회사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조건을 묻는 질문에서 수도권 청년들은 연봉(36.5%)과 근무지역(28.9%)을 각각 1위와 2위로 꼽았다. ‘수도권에서 근무할 수 있는지’ 여부가 높은 연봉만큼이나 회사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이어 ‘워라밸’(21.3%), ‘개인 커리어 개발’(9.3%), ‘회사의 성장 가능성‘(2.7%) 순이었다. <기타 1.3%>

실제 비슷한 수준의 두 회사가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각각 위치할 경우 어디로 입사하겠느냐는 질문에 ‘수도권 회사’라는 응답이 98.3%로 압도적인 선호를 보였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근무 선호도 차이를 구체적인 수치로 가늠해보기 위해, 앞서 수도권 회사를 택한 청년들에게 “연봉이 얼마나 높으면 지방 근무를 선택하겠느냐”고 질문하자 ‘1천만원’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36.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2천만원’·‘5백만원’(18.6%)이 동일한 응답수를 기록했으며,‘3백만원’(9.8%), ‘1천5백만원’(8.8%) 순이었다. 연봉과 관계없이 아예 지방에 근무할 의향이 없다는 응답도 6.1%였다. <기타 1.6%>



경기 판교에 거주 중인 B씨는 “지방에서 혼자 살려면 주거비와 식비가 별도로 더 들어가고, 주말에는 서울로 왕래해야 해 실제 비용이 더 많이 들 수밖에 없다” 며 “이밖에도 부족한 생활여건이나 연애·결혼에 대한 걱정 등 간접적·심리적 요인까지 감안하면 금전적 메리트는 더 커야한다”고 강조했다.


청년 취업의 지리적 마지노선은 ‘세종·대전’... 응답자 85% “세종·대전 밑으로는 안 내려가”

서울에서 어느 정도 먼 지역에서까지 근무할 의향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64.1%가 ‘수원·용인‘으로 답한 반면, 그보다 조금 아래인 ’평택·충주‘는 31.9%로 크게 하락했다. 수도권이거나 수도권 인접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서울과의 거리가 일정 수준 이상 멀어지면서 선호가 크게 낮아지는 것이다.

중부권의 중심지인 ’세종·대전‘(25.9%)의 경우는 ’평택·충주‘와 응답률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남부권 ’대구·전주‘(14.9%)에서는 다시 크게 떨어져, ’세종·대전‘이 수도권 청년들이 근무를 고려하는 지리적인 마지노선으로 나타났다. 거리에 상관없다는 응답은 11%에 그쳤다. <기타 0.6%>



기업규모가 다소 작더라도 수도권에 있는 기업을 더 선호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지방 4대그룹 소속 기업’(26.6%) 보다 ‘수도권 일반 대기업’(73.4%)에 입사하겠다는 응답이 훨씬 높았으며, ‘수도권 중견기업’(50.2%)은 ‘지방 일반 대기업’(49.8%)과, ‘수도권 소재 중소기업’(52.8%)은 ‘지방 소재 중견기업’(47.2%)과 선호도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눈높이를 낮춰서라도 수도권 기업에 취업하려는 청년이 그만큼 많다는 것이다.



청년들이 제시한 지역불균형 해법 : “지역생활 여건 개선”(38.5%), “기업 지방이전 촉진”(21.6%) 順

청년들은 지역불균형 해소를 위한 새정부의 최우선 정책과제로 ’지역 생활여건 개선‘(38.5%)을 꼽았다. 인구를 단순 유입시키는 차원을 넘어 그 안에서 자족 가능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주요기업 지방이전 촉진(21.6%)’이 꼽혔으며, ‘지역 거점도시 육성(16.9%)’, ‘공공기관 이전 확대(9.3%)’, ‘지역 특화산업 육성(7.3%)’등이 뒤를 이었다. <지방대 경쟁력 강화 4.7%, 기타 1.7%>

구직 3년차에 접어든 C씨는 “지방에는 마땅한 일자리가 많지 않은 것도 문제지만, 지방생활의 불편함이 걱정돼 몇몇 좋은 지방기업에도 지원을 꺼리게 된다” 며 “지역 생활 여건을 개선하고 여가·문화시설 등을 유치해야 지역 내부에서 소비가 일어나고 생태계가 살아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상의 전인식 산업정책실장은 “지역불균형 해소의 핵심은 결국 미래세대인 청년과 지역경제를 이끌어갈 기업이 스스로 찾아와 정착하고 싶은 지역을 만드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청년 눈높이에 맞게 지역 생활여건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기업에 친화적인 제도와 인프라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전글, 다음글
자연자본 관련 글로벌 규범·현황 및 대응과제 보고서
지방 근무에 대한 청년세대 인식 조사
수출경기 현황과 주요 리스크 요인 보고서

광주하남상공회의소

(우)12746 경기도 광주시 행정타운로69가길 8(송정동)

Copyright (c) 2017 ghcci, All Right Reserved.